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리액트
- 리액트기초
- 타입스크립트 기초
- 프론트앤드 사이드프로젝트
- 프론트앤드개발
- 유니온타입
- 프론트앤드 기초
- 프론트앤드 개발자
- 인터섹션타입
- Union Type
- 타입스크립트
- 자바스크립트
- html
- intersection type
- 채팅개발
- typescript
- useMemo
- 프론트앤드개발자
- javascript
- javascript 수학
- 프론트앤드
- next.js
- 리터럴타입
- 개발일기
- useCallback
- frontend
- prompth
- react
- react기초
- CSS
- Today
- Total
목록기초지식 (2)
404 page not found : 기록장
웹 개발에서 렌더링은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HTML, CSS, JavaScript 등의 문서를 브라우저가 해석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때, 렌더링 방식은 크게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CSR)과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으로 나뉩니다.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 (CSR) CSR은 웹 페이지의 초기 로딩 시에는 서버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받아오고, 그 이후에 웹 페이지의 렌더링을 모두 브라우저에서 처리합니다. 즉,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하여 렌더링을 처리합니다. 이때 자바스크립트가 클라이언트 측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CSR이라는 명칭이 부여되었습니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React, Angular, Vue.js 등이 있습니다. CSR의 장점은 빠른 인터랙션..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은 웹 페이지가 브라우저에서 어떻게 표시되는지에 대한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1. HTML 문서 파싱 HTML 문서의 내용을 읽고 해석하는 과정입니다. 브라우저는 HTML 코드를 파싱하여 DOM(Document Object Model) 트리를 생성합니다. 이 트리는 문서의 구조와 내용을 표현하는 계층적인 구조입니다. 브라우저는 HTML 문서를 위에서 아래로 파싱하며, 각 태그를 만날 때마다 DOM 트리의 노드를 생성하여 트리에 추가합니다. 하지만, 모든 HTML 문서가 순차적으로 파싱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HTML 문서의 head 태그 안에 있는 스타일 시트 파일이나 자바스크립트 파일은 HTML 문서 파싱 과정에서 다운로드되기 때문에..